JavaScript 2

타입 매개변수에 | 을 사용하는 경우

프로젝트를 하는 도중 컴포넌트 인터페이스 설정할때 useForm에 타입매개변수를 넣어주려했는데, 생각지 못한 부분에서 타입 에러가 났었다.interface testProps{ A : useForm B : useForm | useForm} 그래서 타입 매개변수안에 | 을 넣을때 A와 B의 경우 무슨 차이점이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려 했다.A , B가 다음과 같이 정의되어있다고 가정해 보자 interface A { name: string; age: number;}interface B { email: string; subscribed: boolean;}interface testProps { A: useForm; B: useForm | useForm;} 이 경우, useForm는 name과 ..

카테고리 없음 2024.07.12

Javascript 의 객체 리터럴 / 관련 팁 들

Javascript =>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 클래스가 없어서 객체지향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으나 프로토타입 기반의 객체지향 언어다. 객체의 특징 - 다양한 타입의 값을 하나의 단위로 구성 - 변경 가능 - 0개 이상의 프로퍼티로 구성 / 프로퍼티는 key : value 로 구성 - function도 프로퍼티의 값으로 설정 가능 : 이때 일반 함수와 구분하기 위해 method 라 칭한다. (프로퍼티 : 객체의 상태를 나타내는 값) 자바스크립트는 클래스 개념이 없고 별도의 객체 생성 방법이 존재한다. => ES6 부터는 클래스도 지원한다! 객체 리터럴 object 생성자 함수 생성자 함수 Object.create 메서드 클래스(ES6) 여기서 객체 리터럴 이란? 객체를 표현할 때 , 중괄호 ..

2024.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