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3

Public, Private key , 그리고 Wallet

1. UTXO UTXO란 Unspent Transaction Output의 약자로, 비트코인에서 트랜잭션에 의한 결과물들의 합을 잔액이라는 개념으로 사용할때 쓰인다. 이 트랜잭션들은 공개 키 암호화를 사용하여 공개/ 개인 키 쌍의 소유자를 식별하고 소유권을 이전하게 된다. 2. 지갑 메타마스크 / 카이카스 등의 전자 지갑의 원리는 위에 말한 키들의 저장소인데, 여기서 공개키란 지갑에서의 계좌번호 , 개인키는 비밀번호로 이해할 수 있다. 공개키로 해당 사람의 거래가 참인지 거짓인지 정도만 확인이 가능하고, 개인키로는 직접 거래를 발생시킬 수 있고 비트코인에 대한 소유권을 가지므로, 보호가 필수적이다. 다시 설명하자면, 모든 비트코인 주소에는 공개키(public key)와 개인키(private key)가 들..

블록체인 2022.11.04

비트코인의 난이도 구하는 방법

Bits 지난번 블록체인 구조에서 설명했던 블록 헤더의 구성 요소중 하나인 Bits에 대하여 알아보자 Bits는 쉽게 설명하자면 비트코인을 채굴하기 위한 Target 값인데, 채굴은 블록헤더의 Bits값보다 같거나 작은 값을 찾는것이고, Difficulty는 제네시스 블록의 bits와 비교한 현재의 난이도 비율이다. (난이도 = 새로운 블럭을 발견하기 얼마나 어려운지 보여주는 수) 난이도 공식: difficulty = difficulty_1_target / current_target 난이도가 계속해서 바뀌는 이유는 사토시 나카모토가 설계한 이상적인 소요시간이 1Block 당 10분씩, 2016 blocks X 10 분씩 총 약 2주인데, 이때 2주보다 작거나 크면 난이도를 조절해주게 된다. 여기서 이 블..

블록체인 2022.11.02

블록체인(BlockChain) 이란?

What is BlockChain? => 탈중앙화된 네트워크에서 작동되는 분산 원장 기술 1. 블록체인의 특징 익명성 (Anonymous) => 주민번호 및 개인 정보없이 계좌 주소(Address)만으로 거래가 이루어지므로 계좌의 주인을 알수 없다. 추적가능성 (TraceAbility) => 거래에 사용된 주소를 추적할수 있다. 무신뢰성 (Trustless) => 중앙은행 등의 신뢰받는 기관(Third party)이 필요 없다. 분산원장 (Distributed Ledger) => 모든 사람들에게 거래에 대한 데이터가 제공된다. 탈중앙화 (Consensus Algorithm) => 중앙집중화를 벗어나 분산된 소규모 단위로 자율적으로 운영된다. 합의알고리즘 (Consensus Algorithm) => 모든 ..

블록체인 2022.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