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3

블록체인 학회 BlockChain Valley 에 들어가게 되다

군대에서 메타버스 라는 책은 읽게 되고, 혼합현실에 관심이 많아져서 관련 강의인 ‘자율사물가상현실’ 을 들으며 XR/AR 개발자를 꿈꿨지만, 계속해서 공부를 해갈수록 블록체인 기술이 메타버스에 근본에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블록체인에 대하여 더욱 더 공부를 하고 싶었지만, sopt, 디프만 등의 웹 프로그래밍 동아리 및 학회는 정말 많았음에도 web3, 블록체인 관련 동아리는 정말 눈을 씻고 찾아봐도 보기 힘들었다…. 구글링을 하던 도중 우연히 블록체인벨리에 대하여 알게 되었고, DAO라는 체제로 운영되고 있으며 시작된지 얼마 안된 학회라는 것에 관심이 갔다. 결국 2기 개발팀 노드로 지원을 하고, 면접을 본 뒤 결국 참가하게 되었다! 지금도 크립토 씬에 대해 무지하다 생각했지만, 그때는 정말 백지 그 ..

대외활동 2022.11.27

Public, Private key , 그리고 Wallet

1. UTXO UTXO란 Unspent Transaction Output의 약자로, 비트코인에서 트랜잭션에 의한 결과물들의 합을 잔액이라는 개념으로 사용할때 쓰인다. 이 트랜잭션들은 공개 키 암호화를 사용하여 공개/ 개인 키 쌍의 소유자를 식별하고 소유권을 이전하게 된다. 2. 지갑 메타마스크 / 카이카스 등의 전자 지갑의 원리는 위에 말한 키들의 저장소인데, 여기서 공개키란 지갑에서의 계좌번호 , 개인키는 비밀번호로 이해할 수 있다. 공개키로 해당 사람의 거래가 참인지 거짓인지 정도만 확인이 가능하고, 개인키로는 직접 거래를 발생시킬 수 있고 비트코인에 대한 소유권을 가지므로, 보호가 필수적이다. 다시 설명하자면, 모든 비트코인 주소에는 공개키(public key)와 개인키(private key)가 들..

블록체인 2022.11.04

블록체인(BlockChain) 이란?

What is BlockChain? => 탈중앙화된 네트워크에서 작동되는 분산 원장 기술 1. 블록체인의 특징 익명성 (Anonymous) => 주민번호 및 개인 정보없이 계좌 주소(Address)만으로 거래가 이루어지므로 계좌의 주인을 알수 없다. 추적가능성 (TraceAbility) => 거래에 사용된 주소를 추적할수 있다. 무신뢰성 (Trustless) => 중앙은행 등의 신뢰받는 기관(Third party)이 필요 없다. 분산원장 (Distributed Ledger) => 모든 사람들에게 거래에 대한 데이터가 제공된다. 탈중앙화 (Consensus Algorithm) => 중앙집중화를 벗어나 분산된 소규모 단위로 자율적으로 운영된다. 합의알고리즘 (Consensus Algorithm) => 모든 ..

블록체인 2022.09.18